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egex
- 셀 배경색
- 업무노가다
- air-core
- Meshing
- hydrocylcone
- 업무자동화
- 전산유체역학
- 파이썬
- fluent launcher
- python
- pressure drop
- mass flow ratio to overflow
- 워드튠
- Excel
- 구글시트
- pdf annotation
- google sheet
- fluent 실행하는 방법
- 유체역학
- 후처리 프로그램
- 자동화
- 업무
- CFD
- 엑셀
- DPM
- 모니터링값
- 하이드로사이클론
- 정규표현식
- 행 삽입
- Today
- 1
- Total
- 37,368
목록건축설비 (3)
공돌하우스
안녕하세요 빅톨입니다 :) 공조부하설계를 하다보면 RT라는 단위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오늘은 이 RT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단위변환 방법에 대해 포스팅할려고 합니다. RT는 '알티', '냉동톤'으로 불리며 물 1톤을 24시간 동안 얼음으로 만들 수 있는 냉동 능력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RT에는 국제 냉동톤과 미국냉동톤 두 종류가 있습니다. 국제 냉동톤(RT라고 쓰고 '알티'라고 읽음)은 "0℃의 순수한 물 1톤을 24시간 동안에 0℃의 얼음으로 만드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즉 1 RT=79.68X1,000/24=3,320 kcal/h 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얼음의 융해열=79.68 kcal/kg 미국 냉동톤(USRT라고 쓰고 '유에스알티'라고 읽음)은 "32℉의 순수한 물 1톤을 24시간 동안에 ..

안녕하세요 빅톨입니다 :) 급배수, 위생설비를 공부하다보면 '수두'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수두'의 개념과 단위변환 방식을 명확하게 알아가시면 설비공부하는데 큰 도움이 될거에요! 수두는 간단히 얘기하면 물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을 물의 높이로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높이 1m의 물 덩어리가 바닥면을 누루는 압력을 \(1 mAq (=mH_20)\)로 나타냅니다. 반대로 얘기해보면 펌프가 물을 \(1mAq\)의 수두로 밀어주면 배관 속의 물이 위로 1m 올라가게 됩니다. * Aq: 아쿠아의 약자 * 물 높이 1mm에 해당하는 압력은 1mmAq로 표현 그렇다면 1mAq의 수두가 어느정도의 압력을 나태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바닥면적 \(1m^2\), 높이 10m인 원기둥 형..

안녕하세요~ 건축설비를 전공하고 있는 빅톨입니다 :) 오늘부터 건축설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공부하고 정리해서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건축설비를 공부하다 보면 다양한 수식들이 출몰하는데요. 이때 단위에 대한 기본 베이스가 탄탄하다면 해당 개념들을 이해하기 한층 수월해집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국제단위계(SI)를 중심으로 건축설비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기본 단위 !! 대소문자 유의 !! 길이: 미터 [\( m \)] 질량: 킬로그램 [\( kg \)] | 무게(=중량)[\( kgf \)]와 구분하기. 무게는 중력에 따라 변하는 값이며 질량은 변하지 않는 고유값. | Ex) 달에 가면 몸무게(=중량)는 줄어들지만, 질량은 변하지 않음. 시간: 초 [\( s \)] 전류: 암..